aB_Digital/aB_IT Story 5

고객의 클릭을 부르는 CTA 버튼.

안녕하세요 어레인지비 입니다. CTA 버튼이라는 용어를 들어보셨나요? CTA 란 (Call to Action)의 약자로 마케팅 또는 판매 촉진 시 타깃 고객의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요청하는 기법을 말합니다. 조금 더 쉽게 얘기하자면 우리가 웹사이트에서 볼 수 있는 '더 알아보기', '지금 예약하기', '구매하러 가기' 등 고객이 페이지 내에서 방황하지 않고 관리자가 의도한 곳으로 유도하는 클릭 유도용 버튼들을 'CTA 버튼'이라 부릅니다. 보통 우리가 사용하는 웹사이트 또는 모바일 웹을 보면 CTA 버튼이 없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이벤트 또는 홍보와 같은 정보성 콘텐츠를 1차원적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페이지라면 모르겠으나 요즘엔 이러한 페이지에도 사용자의 참여나 개인정보를 유도하는 CTA버튼을 활용하곤..

[Story] 한국판 디지털 뉴딜. 쉽게 이해하기.

코로나로 인한 경기 침체가 전 세계적으로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얼마 전 문재인 대통령은 한국 경제를 준비하기 위해 향후 5년간 약 76조 원의 예산을 한국 뉴딜에 지출할 것임을 발표했습니다. 76조원. 실로 엄청난 금액의 예산인데요. 정부에서 추진하려고 하는 한국판 뉴딜은 무엇인지. 그리고 정말 이것이 성공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른바 한국판 뉴딜은 '그린 뉴딜'과 '디지털 뉴딜'이라는 두 가지 꼭지로 이루어집니다. '그린 뉴딜'은 한국을 순 배출 가스 제로 경제로 전환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디지털 뉴딜'은 경제 성장과 혁신을 촉진할 디지털 경제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에 무게 중심을 두고 있습니다. 정보통신기술(ICT)은 세계 경제를 변화시키고 있으며, 떠오르는 새로운 디지털..

[Story] 난 집에서 일한다! 디지털노마드 직업 종류.

안녕하세요! 어레인지 비입니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국내 경기가 큰 타격을 입고 있는데요. 이 질병이 장기화 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경제활동을 꾸준히 해야하는 직장인 혹은 사업가분들은 앞으로가 더욱 더 걱정이라고 여기저기서 우려 섞인 이야기를 하곤 합니다. 하루속히 이 어려운 시기가 잘 마무리 되었으면 합니다....ㅜㅜ 사람들과의 만남, 접촉이 부담스러워지는 시대가 되면서 반면 비대면이 가능한 업종들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노트북 하나만 있으면 집? 카페? 길거리?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일할 수 있는 '디지털노마드 (Digital Nomad)'가 그것인데요. 디지털노마드로서 일할 수 있는 직업 종류. 5가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번역가 외국어에 대해 능통하고 자신 있다면 번역가로 활동해..

[Story] 네이버와 유튜브. 앞으로의 미래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네이버와 유튜브의 국내 시장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사실 유튜브의 경우 영상 콘텐츠의 자유로운 업로드와 시청, 공유를 목표로 한 서비스이고 네이버의 경우 인터넷 검색 및 디지털 콘텐츠들을 기반으로 성장한 포탈 서비스이기에 이 둘의 서비스 성격은 서로 다르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국내 디지털 콘텐츠 시장이 영상 중심으로 흘러가고 있고, 이 시장을 놓치지 않기 위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는 시점이기 때문에 국내에서 이 두 서비스의 미래를 예상해 보는 것도 의미있지 않을까요?^^ ■ 동영상 시장에서의 네이버. 성공 할 수 있을까? 앞선 포스트에서도 설명했지만 네이버는 국내 동영상 시장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영상 콘텐츠 생산 및 플랫폼화를 구축하기 ..

[Story] 유튜브. 네이버 검색을 흔들다.

과거 인터넷이 보급되기 전, 우리는 매일 저녁 시청하는 9시 뉴스, 그리고 매일 아침 신문 배달부가 집 앞에 놔주는 조간신문을 펼쳐보며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확인했었습니다. 일방적으로 주입받는 정보들이 세상에 모든 참 정보라고 살아가던 시절이 있었죠! 그러다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우리는 원하는 정보를 능동적으로 골라서 찾게 되는 정보 탐구화 단계로 넘어가게 됩니다. 이 때 네이버, 다음, 네이트, 야후, 구글, 엠파스, 라이코스 등의 검색 매체가 들어서면서 온라인 검색 서비스 시장이 폭발적으로 커지게 되는데요. 검색 서비스 시장의 확대는 블로그, 카페 및 기타 온라인 커뮤니티 생태계를 만들어내게 되면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라면 이제 누구나 정보를 생산해 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내가 원하..

반응형